[33] 251110 매수자 vs 매도자의 심리
정부의 3번째 부동산 정책 이후 약 한달이 지났다.
분명히 사람들의 심리는 규제 이후 떨어진 걸 느낄 수 있는데, KB 통계를 통해 살펴보자.
▶ 서울 강남

정책이후 매수세가 확실히 줄어든 것을 볼 수 있다. 두번의 만남이후 정책에 의해 또 벌어졌다.
매수세에 비해 매도세는 증가폭이 크지 않다. 현재 시세를 살펴보면 호가가 별로 떨어지지 않은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런 심리를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매도 심리가 조금씩 올라가면, 호가에도 변화가 생길 듯, 관심을 가지고 지켜볼 필요가 있겠다.
소강기간이 길어지면 호가도 떨어질텐데, 소강기간이 짧다면 호가가 빠지기는 쉽지 않을 수도 있겠다.
▶ 서울 강북

강북의 매수세 또한 많이 빠졌고, 매도세는 변화가 크지 않다.
매수세가 강남권과 비슷한 수치인데, 매도세는 강남권보다 좀 더 높긴 하다.
다만, 역시나 호가의 변화가 별로 없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소강기간이 심리에 영향을 미치는 걸 볼 필요가 있겠다.
▶ 인천광역시

인천은 정책에 상관없이 심리가 잠잠하다.
매수세와 매도세 모두 보합을 보이는 중
아무래도 매도세가 좀 더 떨어지는 게 포착돼야, 매수세도 올라가지 않을까?
※보통은 매도세가 먼저 움직이고, 그 이후 매수세가 크게 움직이는 경향을 볼 수 있다.
▶ 경기도

인천보다는 경기에서 역시나 흐름의 변화가 보인다.
역시나 매수세의 변화가 눈에 띄게 보이고, 경기의 주요 12곳이 묶였기 때문에, 확실히 매수세는 감소했다.
매도세는 아직까지 변화하기에 시간의 흐름이 짧았다.
풍선효과가 나타나긴 하지만, 심리가 꺾인 것은 확인 할 수 있다.
▶ 부산광역시

부산은 계속해서 매도세가 줄어드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는데, 이제 매수세의 증가가 눈에 보이기 시작한다.
확실히 주요지역인 동래구, 해운대구, 수영구, 연제구 등의 상승세가 시세에도 나타난다.
계속해서 흐름이 이어질까? 소액투자의 기회가 왔으면 좋겠다. 잘 지켜보자.
▶ 대구광역시

대구 역시 매도세의 하락 후 큰 변화가 보이지 않았는데,
이번 대책 이후 매수세가 살짝 오른 것을 볼 수 있다.
다만, 시세에서는 아직까지 큰 변화가 보이지는 않는다.(주요 지역은 회복을 꾸준히 하고 있었긴 하다.)
▶ 광주광역시

심리의 변화가 크게 보이진 않는다.
매도세가 줄어드는 모습이 보이긴 하는데, 일정 구간에서 내려가지는 못하고 있다.
시세의 변동도 유의미 하지 않기 때문에, 시간이 좀 더 걸릴 것으로 보인다.
▶ 대전광역시

대전은 27년까지 공급이 꽤 있는데, 그에 반해 시세가 괜찮게 유지되고 있다.
매도 심리가 살짝 내려오는 게 보이는데, 아직은 큰 변화가 없다.
▶ 울산광역시

부산이 올라오면서, 울산은 좀 주춤하는 모습을 보였는데,
현재 매수심리를 보면 조금 더 올라왔다. 미리 진입한 사람들은 팔고 나올 타이밍인가?
가격 수준도 꾸준히 올라가고 있다.
다만, 매물이 보합세이고, 거래량도 보합세로 보이는데, 심리가 유지되고 있어 좀 더 지켜볼 필요가 있겠다.
정책 이후 수도권의 심리가 많이 줄어든 것을 볼 수 있다.
확실히 매수세보다 매도세가 먼저 움직이는데, 올라가거나 내려올때의 증감폭은 매수세가 크다.
소강상태가 길어지고 매도세가 차츰 커지면, 아직까지는 내려가지 않는 호가가 조금씩 내려갈까?
그리고 규제의 반복으로 수도권이 묶이는 만큼 지방에 수요가 조금씩 생기는 것 같다. 역시 상대적인가?
소액투자의 기회를 잘 살펴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