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투자

주식 초보를 위한 재무제표 핵심 용어 공부하기 (EPS부터 PER까지)

Creator-Bro 2025. 7. 24. 08:24

처음 주식 공부를 시작하면 ‘PER’, ‘EPS’, ‘ROE’ 같은 용어부터 벽처럼 느껴질 수 있다.
하지만 이 숫자들이야말로 회사의 가치를 판단하고, 좋은 주식을 고르는 핵심 도구다.
조금씩 주식 투자를 하면서 느낀 건 “재무제표를 읽을 줄 아는 투자자만이 손실을 줄이고, 기회를 잡는다”는 사실이었다.

이번 글에서는 주식 초보자도 이해할 수 있도록 핵심 주식 용어 9가지를 정리하고, 실전에서 어떻게 활용하는지, 어디서 확인할 수 있는지를 정리해보겠다.

핵심 주식 용어 9가지 총정리

1. 매출액 (Revenue)

  • 정의
    기업이 물건을 팔거나 서비스를 제공해서 벌어들인 총 수익이다.
    말 그대로 장사를 해서 벌어들인 전체 매출이다.
  • 왜 중요한가?
    기업의 성장 규모를 보여준다. 매출이 늘고 있다면 시장에서 수요가 있다는 의미다.
  • 해석법
    매출 증가 → 외형 성장
    매출 감소 → 업황 둔화 또는 경쟁력 약화 가능성
  • 어디서 확인할 수 있나?
    🔹 네이버 금융 https://finance.naver.com → 종목 검색 → 하단 ‘기업실적분석’ 확인
    🔹 전자공시시스템(DART) https://dart.fss.or.kr → 회사명 검색 → 사업보고서 → 손익계산서 항목

2. 영업이익 (Operating Profit)

  • 정의
    본업(핵심 사업)을 통해 벌어들인 실제 이익. 매출에서 비용(인건비·재료비 등)을 뺀 금액이다.
  • 왜 중요한가?
    기업의 실질 수익력을 보여준다.
    영업이익이 커야 기업이 ‘장사’를 잘하고 있다는 뜻이다.
  • 해석법
    영업이익률 = 영업이익 ÷ 매출
    높은 수치는 고효율 구조, 낮은 수치는 비효율적 경영 가능성
  • 어디서 확인하나요?
    🔹 네이버 금융 → 종목 검색 → 하단 ‘기업실적분석’ 확인
    🔹 DART → 회사명 검색 → 사업보고서 → 손익계산서 항목

3. 당기순이익 (Net Profit)

  • 정의
    모든 비용(세금, 이자, 특별손익 등)을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남은 순수 이익이다.
  • 왜 중요한가?
    이익 중에서도 주주에게 돌아오는 최종 금액이므로 배당이나 주가 상승과 직결된다.
  • 해석법
    꾸준한 흑자 기업 → 장기 보유 적합
    연속 적자 → 상장폐지 위험 또는 투자 신중
  • 확인 위치
    🔹 네이버 금융 → 종목 검색 → 하단 ‘기업실적분석’ 확인
    🔹 DART  회사명 검색 → 사업보고서 → 손익계산서 항목

4. EPS (주당순이익, Earnings Per Share)

  • 정의
    한 주당 벌어들인 순이익을 의미한다.
    계산식: EPS = 당기순이익 ÷ 주식 수
  • 왜 중요한가?
    한 주의 ‘가치’를 수익 기준으로 측정한다.
    EPS가 높을수록 주식 한 주의 수익성도 높다.
  • 해석법
    EPS 상승 = 기업 수익 증가 → 긍정 신호
    EPS 급감 = 일시적 비용 or 업황 악화 가능
  • 확인 위치
    🔹
    네이버 금융 종목 검색 → 하단 ‘기업실적분석’ 확인

5. PER (주가수익비율, Price to Earnings Ratio)

  • 정의
    현재 주가가 1주당 수익(EPS)의 몇 배인지를 나타내는 지표
    계산식: PER = 주가 ÷ EPS
  • 왜 중요한가?
    주식이 비싼지, 싼지를 판단하는 기준이다.
    PER이 낮으면 저평가, 높으면 고평가 가능성이 있다.
  • 해석법
    PER 10 → 수익으로 투자금 회수까지 10년
    성장주일수록 PER가 높고, 가치주일수록 낮은 경향이 있다.
  • 확인 위치
    🔹
    네이버 금융 → 종목 검색 → 하단 ‘기업실적분석’ 확인
    🔹 각 증권사 HTS/MTS (예: 키움증권, NH투자증권)

6. PBR (주가순자산비율, Price to Book Ratio)

  • 정의
    주가가 1주당 순자산(BPS)의 몇 배인지를 나타낸다.
    계산식: PBR = 주가 ÷ BPS
  • 왜 중요한가?
    기업의 자산 대비 현재 주가가 고평가인지 판단하는 지표다.
    가치투자자들이 자주 활용한다.
  • 해석법
    PBR 1 이하 → 자산가치보다 저평가
    단, 부실기업일 경우 왜 저평가인지 확인 필요
  • 확인 위치
    🔹 네이버 금융  종목 검색 → 하단 ‘기업실적분석’ 확인
    🔹 각 증권사 HTS/MTS (예: 키움증권, NH투자증권)

7. EV/EBITDA

  • 정의
    기업가치(EV)를 현금창출능력(EBITDA)으로 나눈 지표
    → 기업을 인수할 때 투자 원금 회수에 걸리는 시간을 의미한다.
    EBITDA는 세금과 이자를 내지 않고 감가상각도 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이익이다.
  • 왜 중요한가?
    특히 M&A 분석 또는 성장주/적자기업 분석에 유리한 지표다.
  • 해석법
    EV/EBITDA 5~10 → 저평가일 가능성
    15 이상 → 고평가 or 성장 기대 반영
  • 확인 위치
    🔹 DART에는 별도 표기는 없으며,
    🔹 증권사 리서치 보고서 또는 퀀트 분석 플랫폼 (예: ThinkPool, FnGuide)

8. ROE (자기자본이익률, Return on Equity)

  • 정의
    자기자본 대비 당기순이익 비율
    계산식: ROE = 순이익 ÷ 자기자본 × 100
  • 왜 중요한가?
    주주 입장에서 수익률을 평가하는 가장 대표적인 지표다.
  • 해석법
    ROE 10% 이상 → 효율적 경영
    5% 이하 → 자본 활용률 낮음, 경쟁력 의문
  • 확인 위치
    🔹 네이버 금융  종목 검색 → 하단 ‘기업실적분석’ 확인 

9. PEG (PER/Growth, 주가수익성장비율)

  • 정의
    PER을 이익 증가율로 나눈 값
    성장률을 감안해 주가가 비싼지 싼지 판단하는 지표
  • 왜 중요한가?
    성장주 분석에 핵심
    PER만 보면 고평가처럼 보여도, 성장률이 높다면 실제론 저평가일 수 있음
  • 해석법
    PEG 1 미만 → 저평가
    PEG 1 초과 → 성장 기대 반영됨
  • 확인 위치
    🔹 증권사 리서치 리포트에서만 확인 가능
    (ex. NH, 미래에셋, 메리츠 등 → 해당 종목 리포트 열람)

 

추가정보 : 주식 공부에 활용할 수 있는 지원 교육/서비스

주식 공부는 혼자서 하기보다 검증된 자료와 시스템을 활용하는 것이 훨씬 효율적이다.
요즘은 정부나 공공기관도 투자 교육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
  • 금융투자교육원 (KIFIN) : https://www.kifin.or.kr → 주식 초급/중급 강의 무료 제공
  • 국민내일배움카드 : https://www.hrd.go.kr → '금융/주식/재무' 과정 수강 가능
  • 모의투자 프로그램 : 증권사 앱(MTS)에서 무료 제공 (키움증권, 삼성증권, NH 등)
  • 금융감독원 금융소비자 정보포털 : https://fine.fss.or.kr/ → 금융상품 정보, 용어 사전 제공

주식은 ‘감’으로 하는 게임이 아니다. 기업의 숫자를 읽고, 용어를 이해하는 것만으로도 리스크를 절반으로 줄일 수 있다.

이 글에서 소개한 9가지 용어는 초보 투자자에게 꼭 필요한 개념이며, 하루에 한 지표씩 직접 찾아보고, 실전 종목에 대입해보는 것이 최고의 공부법이다. 단순히 외우지 말고, 의미를 해석하는 훈련을 해보자.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