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투자

주식 초보를 위한 PER 완전 정복: 적정 PER 계산하는 5가지 방법

Creator-Bro 2025. 7. 26. 08:05

“PER이 낮으면 싸고, 높으면 비싼 거 아닌가요?” 이렇게 묻는 투자자 분들이 많다.
하지만 PER은 단순한 공식이 아닌 ‘시장 기대, 성장률, 산업 구조’를 반영한 심리의 산물이다.

실전 투자에서는 PER을 숫자로만 보지 않고, 그 기업이 받아야 할 “적정 PER”이 몇 배인지 먼저 설정한 후, 현재 PER과 비교해 저평가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오늘은 적정 PER을 계산하는 5단계 구조적 접근법을 정리해본다.

1. 동일 업종 평균 PER과 비교하라

  • 어떤 기업이든 가장 먼저 봐야 할 건 속한 산업의 평균 PER이다.
  • 예: 반도체 업종 평균 PER이 20배인데, 해당 기업이 12배라면 ‘상대적으로 싸다’는 신호.
  • 업종별 PER은 네이버증권 > 투자분석 > 동일업종PER, 증권사 리서치센터 보고서에서 확인 가능.
  • 단, 업종 평균도 사이클에 따라 바뀌므로 최소 3~5년 평균을 기준으로 사용해야 신뢰도가 높다.
  • 이 단계는 “시장 기준이 얼마인가?”를 잡기 위한 밸류에이션 기준선 설정이다.

2. EPS 성장률과 PEG를 활용하라 (성장 프리미엄 적용)

  • PER이 높다고 다 비싼 것이 아니다. 성장률을 함께 봐야 한다.
  • PEG(=PER ÷ EPS 성장률)가 1 이하라면, 실적 성장에 비해 현재 주가가 싸다는 의미다.
  • 예: PER 30이더라도, EPS 성장률이 40%라면 PEG는 0.75 → 저평가 판단 가능.
  • PER 산출 시 성장률이 높을수록 PER이 높게 형성될 수 있는 ‘프리미엄 요인’입니다.
  • EPS 추정치는 증권사 리서치, 네이버증권 > 종목분석에서 확인 가능하다.

3. ROE로 수익성 프리미엄을 반영하라

  • 동일한 PER이라도 수익성이 높은 기업은 더 높은 PER을 정당화할 수 있다.
  • 특히 ROE 15% 이상이면 시장에서 프리미엄을 부여하는 경우가 많다.
  • 예: 금융주는 ROE 7~8%로 PER 5배, 하지만 플랫폼 기업은 ROE 20%에 PER 25배도 인정됨.
  • ROE가 높고 유지되는 기업은 리스크가 낮은 저평가 가치주로 판단할 수 있음.
  • ROE는 네이버증권 > 종목분석에서 확인 가능.

4. 시장 금리와 비교해 적정 PER을 역산하라

  • PER은 결국 현재가 / 미래 이익, 즉 수익률의 역수이다.
  • 이때 수익률은 시장이 요구하는 ‘할인율’과 같으며, 이는 국채 금리 + 리스크 프리미엄이다.
  • 예: 시장 금리 3% + 리스크 프리미엄 3%라면 = 할인율 6% → 적정 PER = 1 ÷ 0.06 ≒ 16.6배
  • 금리가 오르면 적정 PER은 낮아지고, 내리면 PER 범위가 넓어진다.(시장 환경에서의 PER 적정성 판단)
  • 기준금리/10년물 국채 금리는 한국은행, FRED에서 확인 가능하다.

5. 과거 PER 밴드(히스토리)로 고점/저점 구간을 확인하라

  • 개별 기업의 5년 PER 트렌드를 보면, 현재 주가가 고점/저점 구간인지 알 수 있다.
  • 예: 이 기업이 과거 5년 평균 PER 18배였고, 지금 12배라면 시장에서 과도한 할인 가능성 있음.
  • PER 밴드 차트는 증권사 리서치, 네이버증권 > 종목분석 등에서 시각화 가능.
  • 이 단계는 “이 기업이 과거 자신에게 비해 저평가인가?”를 보는 내부 비교다.
  • 특히 장기보유 시 이 데이터가 매매 타이밍 판단에 매우 중요하다.
 
적정 PER은 단순 숫자나 평균이 아니다. 그 기업의 성장성, 수익성, 금리 환경, 시장 기대가 모두 반영된 종합 지표다.

그렇기에 PER을 제대로 해석하면, 남들이 보지 못하는 저평가 기회를 잡을 수 있다.

참고할만한 기관/사이트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