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13] 250908 KB 주간 시계열 매매/전세 증감

▶ 서울수도권

계속해서 서울과 수도권 위주로 상승이 이어지는 추세다.

규제나 대출 상황에 따라 증가의 폭은 변화가 있지만, 강력한 상승의 힘이 4급지 이후로 퍼져나가지 못하고 있다.

4급지 이후로도 강한 상승세가 퍼져나갈테지만, 언제가 될지는 아직 미지수인 듯

경기도 또한 마찬가지다. 성남이나 안양, 용인 등의 선호급지 이상이 상승세를 보인다.

 - 서울 매매 상승 Top3 : 강동구(0.46), 동작구(0.44), 성동구(0.43)

 - 서울 전세 상승 Top3 : 광진구(0.34), 송파구(0.29), 강동구(0.20)

 - 경기도 매매 상승 Top3 : 분당구(0.39), 광명시(0.33), 동안구(0.25)

 - 경기도 전세 상승 Top3 : 처인구(0.34), 광명시(0.28), 하남시(0.26)

 

▶ 지방광역시

부산에서 전세가 하락을 멈췄고, 나머지도 전세가의 하락폭이 줄어들었다.

하지만 아직 매매가의 반등으로 이어지지는 않는 듯

그나마 울산이 전세가 반등이 빨랐고, 매매가도 조금씩 오르는 중

 - 부산 매매 -0.04 / 전세 0.03

 - 대구 매매 -0.06 / 전세 0.01

 - 광주 매매 -0.03 / 전세 0.02

 - 대전 매매 -0.04 / 전세 -0.01

 - 울산 매매 0.03 / 전세 0.04

 

▶ 기타

청주의 경우 전세가 조금씩 상승중이지만, 역시나 매매가의 상승전환이 쉽게 못 일어나는 중

천안의 경우는 매매가는 물론이고 전세도 아직 반등을 못했다.

창원의 경우도 지지부진 한데, 특이한 점은 성산구에서 전세가보다 매매(0.06) 가 위주의 반등이 먼저 일어나는 중

 - 청주 매매 0.00 / 전세 0.03

 - 천안 매매 -0.02 / 전세 -0.01

 - 창원 매매 0.00 / 전세 -0.01

매매 증감 / KB부동산
전세 증감 / KB 부동산

 

아무래도 수도권의 경우, 똘똘한 한채의 실거주 위주 장세가 지속되는 듯

선호급지 이상에서 강력한 상승세가 계속 보이기 때문에, 정부의 방향은 쉽게 바뀌지 않을 듯(추가 규제가 나올지도?)

지방의 경우는 매매가가 전세가의 흐름을 따라가는 경향을 보이는데,

전세가의 상승이 얼마나 강력하게 일어나는지를 보는게 관건일 듯

지방에서는 정부의 방향이 규제에서 완화로 바뀔 수도 있지 않을까?

실제 중소도시에서 공시지가 2억 미만의 매물들이 거래가 되는 것으로 보이는데,

정부의 규제가 완화되면 지방에서 불이 붙을지도 모르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