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투자를 하다 보면 수많은 지표가 등장한다. 그중에서 실전 가치평가에서 PER보다 더 ‘정확하고 현실적인 기업가치 측정 지표’가 바로 EV/EBITDA이다.
많은 기관 투자자와 펀드매니저들이 EV/EBITDA를 중요하게 여기는 이유는 이 지표가 ‘이자비용’이나 ‘회계 장부의 감가상각’ 같은 왜곡 요소를 제거하고 순수한 기업의 현금창출력과 가치 대비 얼마나 저평가돼 있는지를 보여주기 때문이다.
1. EV/EBITDA란 무엇인가?
- EV(Enterprise Value)는 ‘기업의 총 가치’로, 시가총액 + 순부채로 계산한다.
- EBITDA는 감가상각과 이자·세금을 제외하기 전 기업의 이익으로, 실제 현금흐름을 의미한다.
- EBITDA : Earnings Before Interest(이자), Taxes(세금), Depreciation(감가상각) and Amortization(무형자산상각비)
- EV/EBITDA는 ‘기업가치 / 현금창출력’의 구조로,
이 회사가 벌어들이는 돈에 비해 기업가치가 비싼지, 싼지를 알려주는 지표이다. - 주의점: 회계 기준과 감가상각 방식이 기업마다 달라 단순 비교는 어렵고 업종 평균과 비교해야 정확하다.
2. PER과 EV/EBITDA의 차이점
- PER은 순이익 기준으로, 회계상 순이익이 작거나 적자이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다.
- EV/EBITDA는 기업이 실제로 벌어들이는 현금에 더 집중한다.
- 따라서 적자 기업이라도 현금흐름이 좋으면 EV/EBITDA는 긍정적으로 나올 수 있다.
- 특히 설비 산업(제조, 통신, 인프라 등)에서는 EV/EBITDA가 PER보다 훨씬 유용하다.
- 주의점: EBITDA가 일시적으로 과대계상되면 오히려 왜곡될 수 있으니 지속성이 중요하다.
3. EV/EBITDA 지표가 낮다는 것은 어떤 의미인가?
- 일반적으로 EV/EBITDA가 7배 이하이면 저평가, 10배 이상이면 고평가로 보는 경향이 있다.
- 단, 업종에 따라 기준은 다르다. (예: 바이오 → 20배, 조선 → 4~6배)
- EV/EBITDA가 낮다는 것은 기업이 벌어들이는 돈에 비해 시장에서 평가하는 가치가 낮다는 의미이다.
- 다시 말해, 현금창출력 대비 싼 주식을 찾을 때 쓰는 지표.
- 주의점: 단순히 낮다고 좋은 건 아니며, 시장이 구조적 리스크를 반영했을 수도 있다.
4. EV/EBITDA와 CAPEX의 상관관계
- 기업이 설비 투자(CAPEX)를 크게 늘리면 초기에는 감가상각이 늘고, 이익은 줄어든다.
- 하지만 EBITDA는 감가상각 전 수치라 설비투자의 미래 효과를 EV/EBITDA가 먼저 반영할 수 있다.
- 특히 향후 매출 증가와 수익성이 확실한 설비투자라면, EV/EBITDA는 빠르게 낮아지며 저평가 매수 타이밍을 보여준다.
- 주의점: 설비만 늘고 수익화가 되지 않으면 EBITDA가 과소 추정돼, 지표 해석이 잘못될 수 있다.
5. 업종별 기준 EV/EBITDA와 해석 시 주의사항
- 업종마다 EV/EBITDA의 적정 범위는 다르다.
- 전통 제조업: 4~7배
- 인터넷/플랫폼: 10~15배
- 헬스케어/바이오: 15~30배 이상도 가능
- 같은 업종 내에서 비교해야 유의미하며, 이익 구조가 유사한 기업끼리 비교해야 한다.
- 또한, 단기 이익 급등·급감에 따라 변동이 심할 수 있으므로 추세를 함께 보는 게 중요하다.
- 주의점: 비즈니스 모델이나 고정비 구조가 다른 기업과 단순 비교는 금물이다.
EV/EBITDA는 이런 투자자에게 적합하다
- PER이 불안정하거나 이익의 회계적 왜곡이 큰 산업
- 제조업, 통신, 인프라처럼 고정자산이 큰 업종
- 적자 기업이지만 현금흐름이 좋은 기업을 찾고 싶을 때
- 설비 증설과 향후 이익 레버리지 효과를 미리 반영하고 싶을 때
초보 투자자 금융 교육 추천 사이트
- 금융감독원 e-금융교육센터(https://www.fss.or.kr/edu) : 금융소비자 역량 강화를 위한 다양한 금융 교육
- 전국투자자교육협의회(https://www.kcie.or.kr) : 금융 투자분야의 효율적 교육 프로그램 제공
- 서민금융진흥원 금융교육포털(https://edu.kinfa.or.kr) : 금융이해력을 높일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 제공
EV/EBITDA는 숫자 자체보다, 그 숫자 뒤에 숨어 있는 현금흐름의 강도와 구조적 경쟁력을 해석하는 지표이다.
단순 계산을 넘어서 기업의 본질가치를 보는 눈을 키우는 데 꼭 필요한 도구이다.
'주식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 초보가 반드시 구독해야 할 유튜브 채널 추천 리스트 (0) | 2025.08.01 |
---|---|
주식 초보를 위한 증권사 리포트 읽는 법: 핵심 5가지만 기억하세요 (0) | 2025.07.31 |
PER이 싼 주식의 숨겨진 위험, 할인 요인 분석법 (0) | 2025.07.29 |
PER 프리미엄이 붙는 진짜 이유: 가치투자자가 보는 10가지 핵심 요인 (0) | 2025.07.28 |
주식 초보를 위한 PER 완전 정복: 적정 PER 계산하는 5가지 방법 (0) | 2025.07.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