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주 KB 시계열이 나오면 확인하는 지표가 매매와 전세의 증감도 있지만,
매수매도 심리도 함께 확인한다.
투자는 남들과 다르게 행동하라는 말이 있듯이, 남들과 다르게 행동하려면, 혹은 남들보다 반보만 빠르게 행동하려면
심리를 함께 보는 것도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숫자도 중요하지만, 그래프로 표현해서 보면 한눈에 파악할 수 있어 용이하다.
9/15 기준 사람들의 매수와 매도의 심리를 알아보자.
▶ 서울 강남
강남의 경우는 역시나 매도 우위 심리를 보여준다.
매도자수는 감소하다가 약간 주춤하지만, 매수자수의 증가폭이 크다.
보통은 매도세가 매수세보다 빠르게 반응하고, 폭도 더 큰 모습을 보여주는데,
강남의 경우는 매수의 반응이 꽤나 빠르고 강하게 일어나는 것으로 보인다.
아무래도 그만큼 매수 대기수요가 꾸준하다는 게 아닐까?
▶ 서울 강북
강북의 경우도 매수세의 증가폭이 큰 것을 볼 수 있다.
매수에 있어서, 지난 5월과 6월의 증가 당시보다, 강남을 바짝 쫓아가는 모습을 보여주는데,
이는 토허제와 대출규제의 영향이 있는 게 아닐까?
아무래도 마포와 성동의 증가세가 반영된 것 같고, 4급지의 반등을 잘 지켜볼 필요가 있어 보인다.
▶ 인천광역시
인천은 역시나 심리가 잠잠하다.
매도세가 오히려 좀 늘어나는 느낌이고, 매수는 아직 바닥에서 잠잠하다.
아무래도 서울, 경기 이후에 인천으로 수요가 넘어가기 때문에, 좀 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
▶ 경기도
경기도는 매수세의 반등이 확실히 보인다.
경기도가 굉장히 넓은데도 불구하고, 이 정도의 증가세를 보이는 것은
성남시 분당구와 수정구 그리고 과천시의 영향이 굉장히 강했다고 볼 수 있겠다.
뿐만 아니라, 광명시나, 용인시 수지구, 그리고 하남시의 매매 증가도 적지 않은 편이었다.
서울과 경기에서 4급지의 심리는 경기가 먼저 퍼지는 것 같다.
▶ 부산광역시
역시나 부산의 심리는 아직 잠잠하다.
전체적인 추세가 매도세가 줄어드는 정도?
매수심리는 확실히 매도심리보다 늦게 반응한다.
(현재 부산은 선호단지 위주로 전세가가 먼저 상승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 대구광역시
매수세는 잠잠한데, 매도가 다시 증가하는 모습을 보인다.
9.7 대책 발표 이후에 심리가 다시 수도권으로 쏠리는 게 아닐까?
전체적으로 매수는 보합이지만, 전세는 약간 회복하는 모습을 보이는 대구시장이다.
가격이 싼 구간은 분명 맞기 때문에, 잘 지켜볼 필요가 있다.(투자금을 줄이는 게 관건이다.)
▶ 광주광역시
역시나 매도세가 다시 증가하는 모습을 보이며, 매수세는 계속해서 바닥에 머물고 있다.
광주는 좀처럼 회복하는 모습이 없는데,
실제 매매가와 전세가도 별로 반응이 없다.
(오히려 매매가가 좀 빠지는 모습)
▶ 대전광역시
대전 역시 사람들의 심리가 움직이지 않고 있다.
가격적으로는 매매와 전세 모두 조정을 받는 모습을 보이는데,
공급이 많은데 비해 전세가 선방하는 모습
의외로 현재 전세 매물도 많지가 않다.
▶ 울산광역시
광역시 중 유일하게 매수심리가 움직이는 곳이다.
실제 가격으로도 선호지역이나 단지 위주로 매매와 전세가 조금씩 올라가는 꾸준히 올라가는 모습을 보인다.
다만, 6월까지는 거래량도 뒷받침됐는데, 현재 거래량은 좀 감소한 상태이다.
꾸준하게 거래가 될지 지켜봐야 할 듯
광역시 혹은 경기도의 하급지 매수세가 또 서울에 몰리는 게 아닌가 싶다.
다른 곳은 주춤하거나, 심리가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는데, 서울과 경기도 선호지역에서는 뚜렷한 상승심리가 보인다.
다만, 선호급지 이상은 꽤나 올랐기에, 투자자라면 들어가기가 쉽지 않은 가격대라고 보인다.
꾸준히 가격과 심리, 그리고 정책에 관심을 가지고 반발만 빠르게 움직여보자.
'투자에 대한 생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21] 현재 서울 부동산의 상승요인과 하락요인은? (0) | 2025.09.26 |
---|---|
[20] 잃지 않는 투자를 해야 한다 (0) | 2025.09.25 |
[18] 250915 KB 주간 시계열 매매/전세 증감 (0) | 2025.09.23 |
[17] 실거주와 투자의 차이점 (0) | 2025.09.22 |
[16] 아파트 사이클 (0) | 2025.09.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