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에 대한 생각

[15] 250908 매수자 vs 매도자의 심리

매주 KB에서는 매주 주간 시계열이 게시된다.

여기서 사람들은 매매증감과 전세증감에 가장 관심이 많다.

어디가 떨어졌는지, 어디가 주춤한지, 혹은 어디가 떨어졌는지?

 

근데 부동산은 정책이나 공급만큼 심리도 영향을 준다.

사실 이러한 심리를 지표화 하기가 쉽지 않은데,

함께 게시되는 매수매도가 어찌보면 심리를 객관화한 지표라고 할 수 있겠다.

 

이는 부동산 사장님들한테 KB에서 조사를 해서 매수자가 많은지, 매도자가 많은지를 조사한 결과라고 한다.

보통은 매도자가 많고, 매수자가 적은 편인데,

상승장에 사람들의 구매 심리가 자극 받기 시작하면

매수자가 매도자를 앞지르는 경우도 발생한다.(과열구간)

 

9/8기준 사람들의 매수와 매도의 심리를 알아보자.

 

▶ 서울 강남

강남의 경우 매도자수가 빠르게 감소하고 있으며, 매수자수가 반등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는 지난 6월 중순에 크로스 됐던 매수 매도가 6.27 대책 이후 빠르게 감소했는데,

이후 다시 심리가 살아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수요 정책은 오래 가지 못하며, 9.7 공급 대책은 심리에 큰 영향을 주지 못한 것 같다.(매도 주춤?)

 

▶ 서울 강북

강북의 경우도 심리가 살아나고 있음을 보여준다.

강남보다는 약간 심리의 강도가 약함을 볼 수 있는데,

이는 지난 24년과 25년의 회복세에 있어서도, 심리강도의 차이가 있음을 볼 수 있다.

전체적으로 서울은 매수심리가 살아나고 있으며, 강남의 매수심리가 좀 더 강한 것을 볼 수 있다.

 

▶ 인천광역시

인천의 경우는 아직 심리가 잠잠하다.

매도세가 감소하다가 횡보를 이어가고 있으며,

매수세는 여전히 바닥에 머물러 있음을 볼 수 있다.

수도권에서 심리가 아직 인천까지 퍼지지는 못했음을 볼 수 있다.

 

경기도

매수심리는 너무 광역단위로 보면 제대로 보기가 힘들다고 생각하는데, 경기도는 너무 넓다.

역시나 심리적으로는 아직 경기도의 심리가 움직였다고 볼 수 없지만,

매수세가 살짝 반등하는 것으로 봐서는, 경기도의 최상급지인 과천이나 분당 등은 움직이는 것 같다.

실제 분당은 매도호가가 상당히 높게 형성돼 있다.(거래가 활발하진 않음)

 

부산광역시

부산의 경우 매도심리가 조금씩 떨어짐을 볼 수 있다.

아직까지 매수심리가 크게 움직이는 모습은 볼 수 없지만,

일반적으로 매도심리가 매수심리보다 먼저 움직이고, 크게 움직인다.

따라서 매도심리를 보고 시장을 같이 보면 좀 더 시장을 이해하기 좋은 경우들이 있다.

(현재 부산의 매매는 선호위주 단지에서 강보합을 보이는 듯)

 

대구광역시

대구의 경우도 6월말에 매도심리가 한번 줄었다가 보합을 보인다.

다만, 시장에서 실제 가격의 반응은 크게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확실히 대구는 공급이 많았는데, 거기다 심리도 살아나지 못해 회복이 늦다.

다만 분명히 싸기 때문에 잘 지켜봐야 한다.

 

광주광역시

광주는 현재 심리가 바닥임을 볼 수 있다.

매도심리가 다시 올라갔으며, 매수심리는 여전히 바닥이다.(바닥인줄 알았는데, 더 바닥으로 가는 듯)

광주는 현재 대장단지의 시세도 타시도 대비 낮은데, 회복이 좀처럼 안되는 듯

잘 지켜볼 필요가 있다.(공급이 없지는 않다.)

 

대전광역시

대전의 경우도 매도세가 좀 떨어지나 싶었는데, 다시 매도세가 올라갔다.

아무래도 올해와 내년까지는 공급이 많아서 회복이 쉽지는 않아보이는데,

지방을 활성화하는 정책이 나온다면 판도가 바뀔까?

역시나 잘 지켜볼 필요가 있다.

 

 울산광역시

광역시에서는 유일하게 심리가 살아나는 것을 볼 수 있다.

매도자가 줄어들고 있으며, 매수세가 올라가는 모습이다.

실제 상급지는 회복을 많이 했다.

현재 울산을 가지고 있고, 수익을 어느정도 달성했다면 매도를 하는 것도 수익실현의 방법일 수 있겠다.

 

투자는 가치있는 것을 싸게 사서 제 가치가 올 때까지 기다리는 것이다.

투자의 격언에는 항상 남과 다르게 움직이라는 말이 있는데,

매도와 매수 심리를 통해 남과 다르게 먼저 움직이는 실마리를 찾을 수 있지 않을까?

항상 시장에 관심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