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투자 (20) 썸네일형 리스트형 주식 초보 필독! 피터 린치의 텐베거 원칙과 실전 적용법 주식 시장에서 한 종목으로 10배 수익을 올리는 건 꿈같은 이야기일 수 있다. 하지만 이 꿈을 현실로 만든 사람이 있다. 바로 ‘마젤란 펀드’를 전설로 만든 피터 린치다.그는 "텐베거(Tenbagger)", 즉 주가가 10배 오를 수 있는 종목을 발굴하는 전략으로 14년 동안 연평균 29%라는 놀라운 수익률을 기록했다.이 글에서는 피터 린치의 텐베거 철학, 그리고 PEG 지표를 활용한 종목 찾기 전략을 초보 투자자 관점에서 알기 쉽게 5가지 핵심 항목으로 정리해보겠다.1. 텐베거란 무엇인가?‘텐베거(Tenbagger)’는 주가가 10배 오른 종목을 의미한다.단기 급등주가 아니라, 실적 성장과 시장의 재평가를 통해 꾸준히 상승한 주식이다.피터 린치는 소외된 업종, 저평가된 기업, 독점적 비즈니스 모델을 눈.. EPS와 PEG를 알면 주식 초보도 고수처럼 투자할 수 있다 PER만 보고 투자하는 시대는 지났다. 지금은 수익성과 함께 성장성까지 반영한 지표, 바로 EPS와 PEG를 함께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두 지표는 단순히 숫자 이상의 의미를 담고 있으며, 기업의 수익력과 미래 가치 평가의 핵심 기준으로 활용한다.이번 글에서는 EPS와 PEG가 무엇인지, 어떤 관계가 있는지, 실전에서는 어떻게 활용해야 하는지 초보자도 이해하기 쉽도록 5가지 핵심 항목으로 나누어 정리해 보자.1. EPS(주당순이익)의 의미와 활용법EPS(Earnings Per Share)는 기업이 한 해 동안 주주 1명에게 벌어준 순이익을 의미한다.계산식은 EPS = 순이익 ÷ 총발행주식수 이다.EPS가 높을수록 기업의 수익성이 좋다는 뜻이며, PER 계산 시 핵심 지표로 쓰인다.전년 대비 EPS .. 주식 초보를 위한 재무제표 해석법: 손익계산서부터 현금흐름표까지 많은 주식 초보자들이 ‘재무제표’라는 단어만 들어도 어렵게 느낀다.하지만 기업의 진짜 가치를 파악하려면 재무제표는 피할 수 없는 핵심 도구이다. 재무제표는 숫자로 말하는 기업의 실적 리포트다.이 글에서는 주식 초보가 반드시 알아야 할 재무제표의 구성과 5가지 핵심 확인 포인트를 투자자의 눈으로 쉽게 정리해본다.재무제표의 구성, 먼저 이해하기재무제표는 일반적으로 다음의 3가지 서류로 구성된다손익계산서 (Income Statement) – 기업의 수익성과 비용, 이익 흐름재무상태표 (Balance Sheet) – 자산, 부채, 자본 등 기업의 ‘현재 상태’현금흐름표 (Cash Flow Statement) – 실제로 돈이 들어오고 나간 흐름이 세 가지를 연결해서 봐야 기업의 건강 상태와 미래 가치가 보인다.1.. 주식 초보를 위한 기업 가이던스 해석법: 놓치면 후회할 5가지 포인트 주식 투자에서 ‘기업의 실적 발표’는 단순히 숫자만 보는 것이 아니다.기업이 향후 실적을 어떻게 전망하고 있는지, CEO와 CFO가 어떤 메시지를 전달하는지가 바로 가이던스(실적 전망)이며, 이를 담은 공식 커뮤니케이션 자료가 IR(Investor Relations) 자료이다.초보 투자자에게는 다소 생소할 수 있지만, 이 두 가지는 기업의 미래 성장성과 주가 흐름을 예측하는 중요한 나침반 역할을 한다.1. 매출·영업이익 가이던스는 ‘방향성’ 중심으로 해석하라기업 가이던스에서 가장 먼저 봐야 할 숫자는 ‘매출’과 ‘영업이익’ 전망치다.작년 대비 얼마나 증가(혹은 감소)할지를 확인하고, 시장 예상치(컨센서스)와 비교해야 한다.전년 동기 대비 성장률이 크다면 시장의 기대감도 빠르게 반영된다.그러나 보수적인 가.. 주식 용어 EV/EBITDA 쉽게 이해하기: 기업가치를 파악하는 핵심 지표 주식 투자를 하다 보면 수많은 지표가 등장한다. 그중에서 실전 가치평가에서 PER보다 더 ‘정확하고 현실적인 기업가치 측정 지표’가 바로 EV/EBITDA이다.많은 기관 투자자와 펀드매니저들이 EV/EBITDA를 중요하게 여기는 이유는 이 지표가 ‘이자비용’이나 ‘회계 장부의 감가상각’ 같은 왜곡 요소를 제거하고 순수한 기업의 현금창출력과 가치 대비 얼마나 저평가돼 있는지를 보여주기 때문이다.1. EV/EBITDA란 무엇인가?EV(Enterprise Value)는 ‘기업의 총 가치’로, 시가총액 + 순부채로 계산한다.EBITDA는 감가상각과 이자·세금을 제외하기 전 기업의 이익으로, 실제 현금흐름을 의미한다.EBITDA : Earnings Before Interest(이자), Taxes(세금), Depr.. 주식 초보가 반드시 구독해야 할 유튜브 채널 추천 리스트 주식 공부를 처음 시작하는 초보 투자자라면 가장 먼저 하는 질문이 하나 있다. “어디서부터 공부해야 하죠?” 많은 정보를 쏟아내는 유튜브 속에서 어떤 채널을 봐야 내 시간과 노력을 아끼고, 진짜 실력을 쌓을 수 있을지 선택하는 게 중요하다. 이번 글에서는 초보자 기준에서 정말 도움이 되는 유튜브 채널 5곳을 골랐다. 기초 강의부터 시황 분석, 종목 공부까지 단계별로 배우기 좋은 채널들입니다. 주식 초보가 꼭 봐야 할 유튜브 채널 TOP 51. 슈카월드경제·금융 흐름을 스토리텔링 방식으로 쉽게 풀어내는 채널이다.기업 분석보다는 시황과 큰 흐름에 대한 이해에 탁월하다.초보자가 경제 뉴스나 금리, 환율의 의미를 이해하는 데 매우 유용하다.투자보다는 시장 이해력이 필요하신 분께 추천한다.강점: 흥미로운 설명 +.. 주식 초보를 위한 증권사 리포트 읽는 법: 핵심 5가지만 기억하세요 주식 초보자에게 증권사 리포트는 친절하지만, 때로는 너무 어려운 문서처럼 느껴진다. 각종 숫자와 영어로 된 용어, 그리고 애널리스트의 복잡한 표현은 처음 주식 공부를 시작한 분들에게는 마치 논문처럼 보일 수 있다.하지만 리포트는 단순한 정보가 아닌, “기관의 시각과 전략”이 담긴 자료다.이 글에서는 투자자의 시선으로, 초보자도 리포트를 제대로 읽을 수 있는 5가지 핵심 포인트를 정리했다.1. 실적 전망치(매출·이익 추정치)를 반드시 비교하라리포트의 핵심은 향후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얼마나 나올 것인지 추정한 수치다.이 숫자가 시장 컨센서스보다 높은지, 낮은지 비교하는 것이 첫 번째다.컨센서스를 상회하면 ‘어닝 서프라이즈’ 기대감으로 주가 상승 여력이 있다는 의미다.반대로 하회한다면 리포트 내용이 긍정적이어.. PER이 싼 주식의 숨겨진 위험, 할인 요인 분석법 많은 투자자들이 “PER이 낮으니까 싸다”고 생각한다.그러나 실전에서는 낮은 PER이 반드시 ‘저평가’가 아니라, 합당한 할인 요인 때문일 수 있다.오히려 PER이 지나치게 낮은 기업일수록 내재된 리스크를 의심해야 한다. PER은 숫자가 아니라 시장의 '신뢰 지수'다.이 글에서는 PER을 할인시키는 5가지 핵심 요인을 바탕으로, 왜 어떤 종목은 싸 보여도 싸지 않은지 정리해보자.PER 할인율을 결정하는 핵심 요인 5가지① 부채비율 급증 및 재무불안부채비율이 200%를 초과하거나 갑자기 증가한 기업은 시장의 신뢰를 잃기 쉽다.높은 이자비용은 이익을 갉아먹고, 부도 가능성을 동반하므로 PER은 자동으로 할인된다.특히 순차입금이 급증하면, 현금흐름 악화로 주가가 선반영 하락한다.확인 방법: 네이버증권 > 종목..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