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 250908 KB 주간 시계열 매매/전세 증감
▶ 서울수도권계속해서 서울과 수도권 위주로 상승이 이어지는 추세다.규제나 대출 상황에 따라 증가의 폭은 변화가 있지만, 강력한 상승의 힘이 4급지 이후로 퍼져나가지 못하고 있다.4급지 이후로도 강한 상승세가 퍼져나갈테지만, 언제가 될지는 아직 미지수인 듯경기도 또한 마찬가지다. 성남이나 안양, 용인 등의 선호급지 이상이 상승세를 보인다. - 서울 매매 상승 Top3 : 강동구(0.46), 동작구(0.44), 성동구(0.43) - 서울 전세 상승 Top3 : 광진구(0.34), 송파구(0.29), 강동구(0.20) - 경기도 매매 상승 Top3 : 분당구(0.39), 광명시(0.33), 동안구(0.25) - 경기도 전세 상승 Top3 : 처인구(0.34), 광명시(0.28), 하남시(0.26) ▶ 지방광역..
[8] 부동산 정책의 종류
부동산 시장을 결정하는 것에는 여러가지가 있다. 금리, 공급, 정책?이러한 것들은 투자여부를 판단할 때,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지만,분명히 참고는 해야할 것들이라 생각한다. 그 중에 말도 많고 탈도 많은 정책을 살펴보자.정책에는 크게 수요 정책과 공급 정책이 있다. 공급 정책은 말 그대로 공급을 많이 할 것인가 혹은 줄일 것인가를 결정하는 것이다.간혹 공급을 줄이는 정부도 있지만, 대부분은 공급을 늘리는 방향으로 정책이 결정된다.다만, 어느정도 인프라가 갖춰진 곳, 특히나 서울 같은 경우는 공급을 늘리고 싶어도 쉽게 늘리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다.이미 해당지역에 집이 많이 지어졌기에, 이해관계가 복잡하고, 새로운 집을 지을 땅은 없기 때문이다.역대 정부들이 공급 정책을 내놓고 있지만, 실제 입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