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를 할때 어떤 물건에 투자해야할까?
가치 있고 싼 것 중에 내가 감당할 수 있는 가장 좋은 것을 하면 된다.
그렇다면 물건의 정보를 가지고 비교 하고,
그에 따른 순위를 매겨보면, 가장 좋은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결국 Data가 있어야 한다. 그래야 비교가 가능한데, Data는 많이 봐야 생긴다.
(심지어 Chat GPT도 학습된 Data를 가지고 답변을 한다.)
부동산은 비교의 학문이라는 이야기를 많이 하는데,
복수의 비교대상으로 어떤 땅이 더 좋은지 비교해 보는 것이
투자의 프로세스다.
여기서 말하는 Data는 어떤 것인가?
일단 내가 해당 물건 땅의 가치(직장, 교통, 학군, 환경)를 알고, 사람들의 선호도를 알아야 한다.
그렇다면 어떤 물건이 더 좋은지 입지를 비교해볼 수 있다.
입지를 비교했다면? 해당 물건의 가격을 붙여보고 나의 투자 우선순위를 정하는 것이다.
나의 투자금으로 가장 좋은 물건을 투자하는 것(+리스크)
그러기 위해서는 갔다온 곳의 정보를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업데이트 해야한다.
가격은 어떻게 변화하는지? 입지나 선호도가 변할만한 요인이 있는지? 해당 지역에 공급은 어떤지?
그렇게 감을 유지하는 것이 결국에는 투자에 있어서 결정할 수 있는 힘이 되는 것이라 생각한다.
사실 이러한 투자의 프로세스는 어떤 종목이든 동일하다.
주식이든, 비트코인이든, 부동산이든, 어떤 것이든 내가 해당 물건의 가치를 알고,
감당 가능한 리스크를 확인하고, 싼 가격에 들어갔을 때,
제 가치를 찾을 때까지 기다릴 수 있는 것이다.
다만, 주식과 부동산이 좀 다른 점은 내 발로 스스로 다닐 수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다른 종목에 비해 부동산은 정보의 불균형이 크지 않다고 생각한다.
이렇게 비교를 통해 투자를 진행하면 어떤 것에 투자를 할지 정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어떤 전략이 나에게 유리한지도 정해볼 수 있다.
똘똘한 1채? 아직은 허용된 2주택? 혹은 다주택?
수도권에서 나의 자산을 쌓아가는 투자? 지방에서 나의 종자돈을 불리는 투자?
나는 어떤 투자관을 가지고 있으며, 리스크와 나의 삶의 패턴을 고려하면,
조금 더 안정적이지만, 약간은 천천히 갈 것이냐? 아니면 운영이 힘들지만, 빠른 길로 갈 것이냐를 정해볼 수 있다.
(나는 어느 길로 가야하나?)
비교를 통해 항상 시장을 주시하고,
내가 갔다 왔던 곳들을 계속 업데이트 하면서 Data를 늘리면
투자는 언제나 가능한 것 같다.
'투자에 대한 생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6] 감당가능한 자산의 크기 (0) | 2025.09.08 |
---|---|
[5] 다주택이 되고자 하는 이유? (0) | 2025.09.06 |
[4] 감당해야 하는 것들 (0) | 2025.09.05 |
[2] 가치와 가격(+기다림) (0) | 2025.09.03 |
[1] 목표가 필요한 이유 (0) | 2025.09.02 |